강진군, 야외활동 증가 속 진드기 감염 주의 당부
논밭 작업시 피부 노출 최소화, 진드기 물림 주의
입력 : 2025. 05. 15(목) 09:45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 포스터
[더조은뉴스]강진군이 최근 야외활동 증가와 더불어 전남에서 올해 첫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군민들에게 진드기 매개 감염병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해당 환자는 80대 여성으로 야외 고사리 채취 작업 중 발열과 피부 가피 증상을 보여 병원을 찾았으며, 검사 결과 SFTS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중증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주로 4월에서 11월 사이에 발생하며, 2013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총 2,065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중 381명이 사망하여 치명률이 약 18.5%에 달하는 고위험 감염병으로 분류된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잠복기(4-15일) 후 고열(38~40'C)이 수일간 지속되고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과 함께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가 나타난다. 특히 예방백신과 치료제가 없고 치명율이 높아 농업인과 야외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쯔쯔가무시 역시 털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감염 후 6~21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두통, 근육통, 피부 발진, 림프절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검은 딱지(가피)가 물린 부위에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강진군은 지역 내 진드기 노출 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등산로, 공원 등 주요 야외활동 장소에 자동 진드기 기피제 분사기 6대를 설치 했고 관내 경로당과 마을 회관을 방문하여 감염병 예방 교육과 홍보 활동도 하고 있다. 또한 각 마을 이장을 통해 군민 전 세대에 진드기 기피제를 배부했으며, 특히 농업인, 임업 및 산림업 종사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예방 교육도 지속적으로할 계획이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수칙으로 ▲ 풀밭, 수풀에서 긴 소매, 긴 바지 착용하기 ▲ 외출 후에는 즉시 옷을 세탁하고 샤워하기 ▲야외에서 사용한 돗자리, 작업복 등은 바로 세탁하기 ▲ 야외활동 후 고열, 설사,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기 등을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준호 보건소장은 “농작업이나 등산, 텃밭 가꾸기 등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계절을 맞아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며 "고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병원에 방문해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박종수 기자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중증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주로 4월에서 11월 사이에 발생하며, 2013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에서 총 2,065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중 381명이 사망하여 치명률이 약 18.5%에 달하는 고위험 감염병으로 분류된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은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잠복기(4-15일) 후 고열(38~40'C)이 수일간 지속되고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과 함께 백혈구 및 혈소판 감소가 나타난다. 특히 예방백신과 치료제가 없고 치명율이 높아 농업인과 야외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쯔쯔가무시 역시 털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감염 후 6~21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두통, 근육통, 피부 발진, 림프절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검은 딱지(가피)가 물린 부위에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강진군은 지역 내 진드기 노출 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대한 선제적 대응에 나섰다. 등산로, 공원 등 주요 야외활동 장소에 자동 진드기 기피제 분사기 6대를 설치 했고 관내 경로당과 마을 회관을 방문하여 감염병 예방 교육과 홍보 활동도 하고 있다. 또한 각 마을 이장을 통해 군민 전 세대에 진드기 기피제를 배부했으며, 특히 농업인, 임업 및 산림업 종사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예방 교육도 지속적으로할 계획이다.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을 위한 수칙으로 ▲ 풀밭, 수풀에서 긴 소매, 긴 바지 착용하기 ▲ 외출 후에는 즉시 옷을 세탁하고 샤워하기 ▲야외에서 사용한 돗자리, 작업복 등은 바로 세탁하기 ▲ 야외활동 후 고열, 설사, 구토 등 증상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 방문하기 등을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준호 보건소장은 “농작업이나 등산, 텃밭 가꾸기 등 야외활동이 활발해지는 계절을 맞아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라며 "고열 등의 증상이 나타날 경우 병원에 방문해 야외활동력을 알리고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0801thebette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