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의 역사‧미래 상징 ‘광주역’서 열린다 독립‧민주 지켜낸 ‘광복절 80주년 경축식’
광주시, 15일 오전10시 ‘스테이지’서…‘기억에서 희망으로’ 주제
입력 : 2025. 08. 12(화) 09:59

경축식 초대장.
[더조은뉴스]‘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이 항일‧반독재‧민주주의 광주의 80년 역사가 숨쉬고, 첨단산업‧문화역량으로 청년들이 꿈꾸는 앞으로 80년의 미래가 담긴 ‘광주역 역사현장’에서 열린다.
광주광역시는 15일 오전 10시 광주역 수화물주차장 부지에 조성된 창업거점 빛고을창업스테이션(STA·G, 이하 스테이지)에서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을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강기정 시장과 독립유공자·유족(광복회원), 국회의원, 시·구 의원, 기관장, 시민 등 각계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올해 경축식은 ‘광주의 시간, 기억에서 희망으로’를 주제로 열린다.
항일·민주정신과 촛불로 민주주의를 지켜온 광복 이후 광주의 80년을 기억하고, 인공지능(AI)과 미래차 등 첨단산업, 문화 역량으로 펼쳐갈 앞으로의 80년에 대한 희망을 담았다.
특히 경축식이 열리는 창업거점 ‘스테이지(STA·G)’는 광주역 수화물 주차장 부지로, 광주학생독립운동과 4‧19혁명, 5·18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지켜본 곳이다.
이곳은 올해 6월 청년 창업·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으며 ‘과거의 기억을 품고, 도전을 넘어, 희망으로 비상하는 광주의 무대’라는 이번 경축식 취지와 부합한다.
경축식은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기념사(광복회 광주광역시지부장) ▲독립유공자 포상 ▲기념영상 ‘시민의 기억과 희망’ ▲경축사(광주광역시장) ▲기념공연(CBS소년소녀합창단·빛고을댄서스) ▲광복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된다.
경축식에서는 세대와 분야를 아우른 시민들이 참여한 기념영상 ‘시민의 기억과 희망’이 상영된다.
광복의 의미와 미래 희망을 시민 목소리로 전하는 이 영상에는 육상선수 이재성을 비롯해 항일·민주운동의 어머니, 청년 창업인, 마을 활동가 등이 출연해 과거의 기억을 오늘의 삶과 내일의 꿈으로 이어가는 메시지를 담았다.
광주시는 경축식 현장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특별연출도 예고했다. 기념영상 직후, 무대와 객석이 하나 되는 퍼포먼스를 통해 광주의 미래비전을 함께 그리는 장면이 펼쳐질 예정이다.
이날 경축식에서는 대한민국 자주독립과 민족정기 선양 등에 기여한 4명에게 대통령 표창(1명)과 시장 표창(3명)을 수여한다.
대통령 표창은 고(故) 김행중 선생에게 추서된다.
김 선생은 1925년 전남 무안군 도초면에서 도초소작인회 회원으로 총독부 농업정책에 반대하는 소작쟁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벌금 30원을 받는 등 독립에 기여했다.
표창은 손자녀 김일랑 씨(남·83세)가 받는다.
광주시장 표창은 직업상담사 활동으로 보훈가족 일자리 창출 등 복지증진에 기여한 독립유공자 후손 민승희 씨(여·46세), 지역경제 발전과 광복회 후원 및 기부 활성화에 적극 참여한 양다빈 씨(여·34세), 산업재해 예방에 힘쓰면서 광복회원 복지증진 및 기부 활성화에 기여한 정다원 씨(여·57세)에게 수여된다.
기념 공연에서는 CBS소년소녀합창단이 ‘고향의 봄’을, 빛고을댄서스가 케이팝(K-POP) ‘골든’에 맞춰 댄스 무대를 선보인다.
광복 이후 세대를 대표하는 청년·어린이들이 ‘희망으로 나아가는 미래 광주’를 표현하는 무대다.
이날 경축식 종료 후에는 광복회 광주시지부 주관으로 ‘경축 음악회’가 열려, 축하 분위기를 이어간다.
이번 경축식은 광주시 유튜브 채널 ‘헬로광주’를 통해 생중계된다.
광주시는 광복절을 맞아 독립유공자와 유족에게 오는 14일부터 16일까지 시내버스·지하철·철도 무료 이용 등 교통 편의를 제공한다.
정원석 자치행정국장은 “제80주년 광복절을 맞아 국권회복을 경축하고, 광복을 위해 헌신하신 분들을 기리는 자리에 많은 시민이 함께하길 바란다”며 “광주의 과거와 미래를 잇는 무대가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 각 가정에서도 태극기를 달아 경축 분위기를 함께해 달라”고 말했다.
박종수 기자
광주광역시는 15일 오전 10시 광주역 수화물주차장 부지에 조성된 창업거점 빛고을창업스테이션(STA·G, 이하 스테이지)에서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을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는 강기정 시장과 독립유공자·유족(광복회원), 국회의원, 시·구 의원, 기관장, 시민 등 각계 인사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올해 경축식은 ‘광주의 시간, 기억에서 희망으로’를 주제로 열린다.
항일·민주정신과 촛불로 민주주의를 지켜온 광복 이후 광주의 80년을 기억하고, 인공지능(AI)과 미래차 등 첨단산업, 문화 역량으로 펼쳐갈 앞으로의 80년에 대한 희망을 담았다.
특히 경축식이 열리는 창업거점 ‘스테이지(STA·G)’는 광주역 수화물 주차장 부지로, 광주학생독립운동과 4‧19혁명, 5·18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지켜본 곳이다.
이곳은 올해 6월 청년 창업·문화공간으로 재탄생했으며 ‘과거의 기억을 품고, 도전을 넘어, 희망으로 비상하는 광주의 무대’라는 이번 경축식 취지와 부합한다.
경축식은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기념사(광복회 광주광역시지부장) ▲독립유공자 포상 ▲기념영상 ‘시민의 기억과 희망’ ▲경축사(광주광역시장) ▲기념공연(CBS소년소녀합창단·빛고을댄서스) ▲광복절 노래 제창 ▲만세삼창 순으로 진행된다.
경축식에서는 세대와 분야를 아우른 시민들이 참여한 기념영상 ‘시민의 기억과 희망’이 상영된다.
광복의 의미와 미래 희망을 시민 목소리로 전하는 이 영상에는 육상선수 이재성을 비롯해 항일·민주운동의 어머니, 청년 창업인, 마을 활동가 등이 출연해 과거의 기억을 오늘의 삶과 내일의 꿈으로 이어가는 메시지를 담았다.
광주시는 경축식 현장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특별연출도 예고했다. 기념영상 직후, 무대와 객석이 하나 되는 퍼포먼스를 통해 광주의 미래비전을 함께 그리는 장면이 펼쳐질 예정이다.
이날 경축식에서는 대한민국 자주독립과 민족정기 선양 등에 기여한 4명에게 대통령 표창(1명)과 시장 표창(3명)을 수여한다.
대통령 표창은 고(故) 김행중 선생에게 추서된다.
김 선생은 1925년 전남 무안군 도초면에서 도초소작인회 회원으로 총독부 농업정책에 반대하는 소작쟁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벌금 30원을 받는 등 독립에 기여했다.
표창은 손자녀 김일랑 씨(남·83세)가 받는다.
광주시장 표창은 직업상담사 활동으로 보훈가족 일자리 창출 등 복지증진에 기여한 독립유공자 후손 민승희 씨(여·46세), 지역경제 발전과 광복회 후원 및 기부 활성화에 적극 참여한 양다빈 씨(여·34세), 산업재해 예방에 힘쓰면서 광복회원 복지증진 및 기부 활성화에 기여한 정다원 씨(여·57세)에게 수여된다.
기념 공연에서는 CBS소년소녀합창단이 ‘고향의 봄’을, 빛고을댄서스가 케이팝(K-POP) ‘골든’에 맞춰 댄스 무대를 선보인다.
광복 이후 세대를 대표하는 청년·어린이들이 ‘희망으로 나아가는 미래 광주’를 표현하는 무대다.
이날 경축식 종료 후에는 광복회 광주시지부 주관으로 ‘경축 음악회’가 열려, 축하 분위기를 이어간다.
이번 경축식은 광주시 유튜브 채널 ‘헬로광주’를 통해 생중계된다.
광주시는 광복절을 맞아 독립유공자와 유족에게 오는 14일부터 16일까지 시내버스·지하철·철도 무료 이용 등 교통 편의를 제공한다.
정원석 자치행정국장은 “제80주년 광복절을 맞아 국권회복을 경축하고, 광복을 위해 헌신하신 분들을 기리는 자리에 많은 시민이 함께하길 바란다”며 “광주의 과거와 미래를 잇는 무대가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리며, 각 가정에서도 태극기를 달아 경축 분위기를 함께해 달라”고 말했다.

0801thebetter@naver.com